Owl-Networks Archive
| 분류: 프로그램 소개 | 최초 작성: 2009-01-25 11:54:34 |
윈도우 2000/XP/VISTA 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공개 램 디스크 작성 프로그램으로 유명한 Gavotte RamDisk 의 최신 버전이다. 64비트 버전용 파일도 포함되어 있는 버전이다.
원본을 그대로 업로드했기 때문에 7zip 으로 압축되어 있다.
프로그램 다운로드: 다운로드 (크기: 158KB)
관련 링크 :
2008년에 새로 업데이트 된 Gavotte Ramdisk 는 윈도우 XP 32비트 버전 등 32비트 버전에서의 3.25G 이후 부분을 PAE 옵션을 이용하여 램 디스크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위 이미지를 보면, Z:\ 드라이브가 현재 램 디스크로 설정되어 있고, 그 용량은 1GB 이다. 따라서 램 사용량이 1GB + a 가 되어야 정상이다. 그러나, PAE 를 이용하여 3.25GB 이후의 0.75GB 를 램 디스크로 할당한 결과, 3.25GB 안쪽의 사용 가능 영역에서는 0.25GB 만을 사용하는 결과가 된다. 그래서 현재 (윈도우에서 직접 사용가능한 3.25GB 안쪽 영역에서의) 램 사용량은 약 675MB 정도이다.
즉, PAE를 사용한다고 하여 윈도우 XP 32비트 버전에서 메모리 4GB 를 모두 인식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이 부분을 램 디스크 등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 (내 컴퓨터가 PAE를 지원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고.)
* 참고사항. boot.ini 에 /PAE 가 없다고 하더라도, /noexecute 옵션이 붙어 있다면 현재 PAE 가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noexecute 옵션이 /PAE 를 포함하고 있다.)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 링크를 참조한다: "실제 주소 확장이란" (http://qaos.com/article.php?sid=1848)
(1) 우선, 자신의 시스템이 현재 PAE 사용 가능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위 그림과 같이 [시작]→[내 컴퓨터] 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 → 속성(R) → 일반 탭의 "컴퓨터" 항목에 "실제 주소 확장" 이라는 말이 있는지 확인한다. 자신의 시스템이 하드웨어 레벨에서 PAE 를 지원하는데도 이 메시지가 나타나지 않는다면, 시스템 드라이브의 루트 디렉토리(폴더)에 숨겨져 있는 boot.ini 의 부트 옵션에 /PAE 나 /noexecute=optin 등의 옵션이 붙어 있는지 확인하고 없다면 붙여 넣는다. 아래는 필자의 boot.ini 의 해당 라인의 모습이다.
[operating systems] multi(0)disk(0)rdisk(0)partition(1)\WINDOWS="Microsoft Windows XP Professional" /noexecute=optin /fastdetect /usepmtimer
(2) 확인 후 위에서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적당한 위치에 폴더를 만들어 복사해 넣는다.
(3) ramdisk.exe 를 실행한다.
(4) Install Ramdisk 버튼을 클릭하여 드라이버를 설치한다. 잠시 동안 무언가가 복사되는 듯한 모습이 보이고 금방 설치가 끝날 것이다.
(5) 디스크 크기, 드라이브 문자, 디스크 타입 (오류가 발생하는 등의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Fixed Media로 지정) 을 지정한 후, Apply 버튼을 클릭한다.
여기까지 실행하면 잠시 후 램 디스크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아직 PAE 를 사용하도록 설정되어 있지는 않은 상태이다. (메모리 사용량을 보면 램 디스크의 용량만큼 램 사용량이 줄어들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제 PAE의 사용을 설정해야 한다.
(6) OK 버튼을 눌러서 빠져나온 후, ram4g.reg 레지스트리 파일을 병합한다. 이 레지스트리 파일은 랩디스크 드라이버에 PAE 를 사용하라는 옵션을 전달하는 레지스트리 항목을 포함하고 있다.
(7) 시스템을 재 부팅 한다.
부팅 후 램 디스크가 지정한 드라이브 문자에 해당 용량만큼 할당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PAE 가 설정되어 있다면 드라이브의 볼륨 레이블은 RamDisk+PAE 가 되며, PAE 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라면 RamDisk 라는 볼륨 레이블을 갖게 된다. 또한 PAE 가 설정되어 있다면, 3.25GB 이후의 램이 램 디스크에 할당되는 결과 추가로 사용된 메모리의 양은 램 디스크의 용량에서 3.25GB 이후에 남은 램 용량을 뺀 만큼이 된다.
이 프로그램은 윈도우 XP 시절에 공개된 프로그램이며, 최종 업데이트는 윈도우 7이 출시되기 전인 2008년에 있었다. 그러나 윈도우 7에서도 이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는 있다. (32비트 버전의 윈도우 7에서 정상동작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만, 윈도우 7에서는 boot.ini 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PAE 를 세팅하는 방법이 조금 달라졌다. 윈도우 7(윈도우 비스타도 동일)에서 PAE 를 세팅하기 위해서는 관리자 권한으로 콘솔 창을 연 뒤(cmd.exe 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다음과 같이 입력해야 한다. (참고 문서는 이 페이지)
BCDEdit /set PAE ForceEnable
나머지는 윈도우 XP 의 경우와 같다.
단, 윈도우 7 32비트 버전 환경에서 PAE 를 세팅한 경우, 사용자가 설정한 램 드라이브 크기와 무관하게 윈도우가 관리하지 않는 모든 영역을 램 디스크로 잡아버리는 문제가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 이것이 문제가 되지는 않겠지만, 사용자의 시스템 환경에 따라 이 부분이 문제가 될 수도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윈도우 7 32비트 버전 환경에서 윈도우 관리 외 영역에 램 디스크를 생성하여 사용해 본 결과, 4k 읽기/쓰기 성능이 매우 떨어지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이 블로그의 다음 문서를 참조) 만약 시스템 디스크로 SSD 등의 고속 저장 장치를 사용중인 경우, Gavotte RamDisk 를 사용하여 4기가바이트 램 상위 영역에 램 디스크를 생성하여 임시 폴더로 사용한다면 오히려 성능 저하를 경험할 수도 있다.
이 페이지에 링크되어 있는 버전은 Gavotte RamDisk 의 64비트 버전 드라이버가 포함되어 있는 버전입니다. 그러나 실제 이 프로그램을 사용했을 때 램 디스크 생성에 실패했다는 말씀이 있어서 이런 저런 자료를 찾아보니, 64비트 드라이버에 서명이 없는 경우 64비트 버전 윈도우에서는 구동이 되지 않는다는 것 같습니다. 즉, 일반적인 경우에 이 프로그램을 64비트 환경에서 구동하는 것은 어렵다는 이야기죠.
아래 링크는 이 프로그램을 64비트 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한 몇 가지 방법들을 기술한 글입니다. 일본 웹의 문서이므로 구글 번역기를 경유하여 링크를 걸었으니, 일본어 해독이 가능하신 분께서는 번역기를 해제하시고 읽으시면 되겠습니다.
다만 위 방법은 윈도우를 테스트 모드로 동작시키는 방법입니다. 저는 테스트 모드와 일반 사용 모드 사이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지 못하며, 따라서 위 방법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실제 위 방법을 적용할지 말지 여부는 개별 사용자가 자신의 판단에 따라서 적용하시기 바랍니다.
☞ 태그: 램디스크, RamDisk, Gavotte RamDisk,
☞ 트랙백 접수 모듈이 설치되지 않았습니다.
☞ 덧글이 없고, 트랙백이 없습니다.
(C) 2000-2023, Owl-Networks. Powered by Perl. 이 페이지는 HTML 5 표준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