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Icon

Owl-Networks Archive

LoginIcon

악튜러스 : Original Sound Track (BGM) 및 엔딩에 관련한 뒷이야기

| 분류: 취미생활 및 그 자료들 | 최초 작성: 2009-02-01 00:31:01 |

1. 악튜러스(Arcturus) Original Sound Track (BGM)

초기 발매된 악튜러스 한정판(5CD)의 Audio CD 트랙 순서대로 배열한 것이며, 원 출처는 그라비티 커뮤니티 게시판이지만 현재 이미 사라져서 접속이 불가능하므로 링크는 하지 않습니다.

※ 악튜러스의 BGM을 MP3 형태로 얻는 가장 쉬운 방법은 악튜러스 한정판(5CD Ver)을 구해서 오디오 부분을 Rip 뜨는 방법입니다. 이후 발매된 2CD 또는 DVD 버전에서 음원을 추출하는 방법은 저도 모르니 질문하지 말아주세요.

■ 모든 제목은 BGM을 담당한 TeMP팀에서 시나리오를 읽고 지은 것이며, 기타 세션 및 일부 곡의 작곡을 담당한 ZAM에서 만든 곡은 옆에 따로 표시를 했습니다.

■ 그 외 건너뛴 번호는 다른 시디와 중복되는 트랙이라 그랬으니 이해하셔요.

■ 오프닝 보컬곡은 CD트랙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여기에서는 제외했습니다.

디스크 1

  • Disc 1 - Track 2. The Innocents (타이틀)
  • Disc 1 - Track 3. Magic is basic (시나리오 셀렉트. 원래는 마법조합모드용으로 작곡된 음악이었음)
  • Disc 1 - Track 4. Cheers! (전투승리)
  • Disc 1 - Track 5. The game is not over yet (게임오버)
  • Disc 1 - Track 6. Inn (여관에서 잠들기)
  • Disc 1 - Track 7. 밤을 잊은 그대에게 (잠이 안온다)
  • Disc 1 - Track 8. Run & Assault (전투, ZAM 작곡/세션)
  • Disc 1 - Track 9. Mission possible (1장 보스배틀)
  • Disc 1 - Track 10. Confession (교회)
  • Disc 1 - Track 11. Venturer"s world (1장 필드)
  • Disc 1 - Track 12. The waltz (오프닝 파티장)
  • Disc 1 - Track 13. Tranquilly - Night arranged (트랑퀼리 Tranquilly)
  • Disc 1 - Track 14. -제목없음- (이벤트용 BGM)
  • Disc 1 - Track 15. 그녀의 아침 - arranged (라그니마을 Ragnie)
  • Disc 1 - Track 16. Flee by night (서장 이벤트)
  • Disc 1 - Track 17. Ocean blue (바다)
  • Disc 1 - Track 18. 아르바이트맨 (항구도시 타이니 Port town of Tynie)
  • Disc 1 - Track 19. Maria (이벤트용 BGM)
  • Disc 1 - Track 20. Curiosity (수련장. 보너스 Audio CD에 풀 어레인지 버전이 포함되어 있음)
  • Disc 1 - Track 21. Nightmare (이벤트용 BGM)
  • Disc 1 - Track 22. Memories (마르튀니 Martuinie)

디스크 2

  • Disc 2 - Track 12. The bloom of dome (공화국 수도 돔 Dome; Capital of R.O.S.C)
  • Disc 2 - Track 13. -제목없음- (이벤트용 BGM)
  • Disc 2 - Track 14. Strained heart (이벤트용 BGM)
  • Disc 2 - Track 15. Serenade in the rain (이벤트용 BGM)
  • Disc 2 - Track 18. Farewell to sadness (타이니 가도, 골도로아 철교)
  • Disc 2 - Track 19. 내게 너무 아름다운.. (메르헴/베르가모 Merhem/Pergamos)
  • Disc 2 - Track 20. Romance of Seacoast (앙스베르스 Answers)
  • Disc 2 - Track 22. Angel"s walk (사데 Sardis)
  • Disc 2 - Track 23. Hallway to Heaven (성도 바아라 The holy city; Baara)
  • Disc 2 - Track 24. Men in conspiracy (6인위원회)
  • Disc 2 - Track 25. Tranquilly - Daylight arranged (트랑퀼리 Tranquilly)
  • Disc 2 - Track 26. The Northern pure (라비아의 목장 외)
  • Disc 2 - Track 27. 던전夜 (던전)
  • Disc 2 - Track 29. The song of dethroned emperor (이벤트용 BGM)
  • Disc 2 - Track 30. An omen of disaster (이벤트용 BGM, ZAM 작곡/세션)
  • Disc 2 - Track 31. Deja vu (라그니마을 회상)

(Disc 2 중복 트랙 정보)

  • Disc 2 - Track 2~11 은 Disc 1 - Track 2~11 과 같습니다.
  • Disc 2 - Track 16~17 은 Disc 1 - Track 17~18 과 같습니다.
  • Disc 2 - Track 21 은 Disc 1 - Track 22 과 같습니다.
  • Disc 2 - Track 28 은 Disc 1 - Track 19 과 같습니다.

디스크 3

  • Disc 3 - Track 9. The Invisible opponent (2장 보스배틀)
  • Disc 3 - Track 11. Atomic dance (2장 필드)
  • Disc 3 - Track 12. Hopeless hamlet (라크리모사 Lachrymosa)
  • Disc 3 - Track 13. The abandoned mine (라크리모사 폐광)
  • Disc 3 - Track 14. Theatre of tragedy (라크리모사 폐광 최하부)
  • Disc 3 - Track 15. -제목없음- (이벤트용 BGM)
  • Disc 3 - Track 18. Farewell to sadness - Club MIX (타이니 가도, 골도로아 철교)
  • Disc 3 - Track 19. Steel Empire (프리셀로나/디아디라 Thyatira)
  • Disc 3 - Track 20. Doom of dome (공화국 수도 돔 2장)
  • Disc 3 - Track 21. Astennu Tjodalv (에스테뉴 툐달 공업단지 Astenuu Tjodalv industrial complex)
  • Disc 3 - Track 22. White day (쿠스코 에밀)
  • Disc 3 - Track 23. 我不死 (세테판 연구지구 District of Cetephan alchemy research lab.)
  • Disc 3 - Track 25. A painful reign (마을 BGM)
  • Disc 3 - Track 26. 시련 (트랑퀼리 2장)
  • Disc 3 - Track 27. Age of the suffering (성도 바아라 2장)
  • Disc 3 - Track 28. Valley rally (라크리모사 밸리)
  • Disc 3 - Track 29. Elhive hill (엘하이브 언덕)
  • Disc 3 - Track 30. The Iron fortress (요새 엘하이브)
  • Disc 3 - Track 31. The absolute ruins (이벤트용 BGM)

(Disc 3 중복 트랙 정보)

  • Disc 3 - Track 2~8 은 Disc 1 - Track 2~8 과 같습니다.
  • Disc 3 - Track 10 은 Disc 1 - Track 10 과 같습니다.
  • Disc 3 - Track 16 은 Disc 2 - Track 14 와 같습니다.
  • Disc 3 - Track 17 은 Disc 1 - Track 14 와 같습니다.
  • Disc 3 - Track 24 은 Disc 2 - Track 24 와 같습니다.

디스크 4

  • Disc 4 - Track 9. Machine head (3장 보스배틀)
  • Disc 4 - Track 11. Glorious pain (3장 필드)
  • Disc 4 - Track 15. Dream of You (이벤트용 BGM)
  • Disc 4 - Track 17. Drug Freak (셀린의 정신세계)
  • Disc 4 - Track 20. Hit me (3장 콘스텔라리움 Constellarium)
  • Disc 4 - Track 21. Bossa blue (에페소 Ephesus)
  • Disc 4 - Track 22. Amnesia (에파타 재단 산하 사회과학 연구소 Department of Social Science of Ephphatha Foundation; D.S.E.F)
  • Disc 4 - Track 23. Messiah (이벤트용 BGM)
  • Disc 4 - Track 30. A Fairy teller (이벤트용 BGM)

(Disc 4 중복 트랙 정보)

  • Disc 4 - Track 2~8 은 Disc 1 - Track 2~8 과 같습니다.
  • Disc 4 - Track 10 은 Disc 1 - Track 10 과 같습니다.
  • Disc 4 - Track 12 는 Disc 2 - Track 14 와 같습니다.
  • Disc 4 - Track 13 은 Disc 3 - Track 15 와 같습니다.
  • Disc 4 - Track 14 는 Disc 2 - Track 13 과 같습니다.
  • Disc 4 - Track 16 은 Disc 2 - Track 26 과 같습니다.
  • Disc 4 - Track 18~19 는 Disc 3 - Track 18~19 와 같습니다.
  • Disc 4 - Track 24 는 Disc 2 - Track 24 과 같습니다.
  • Disc 4 - Track 25~27 은 Disc 3 - Track 25~27 과 같습니다.
  • Disc 4 - Track 28 은 Disc 3 - Track 31 과 같습니다.
  • Disc 4 - Track 29 는 Disc 2 - Track 27 과 같습니다.

디스크 5

  • Disc 5 - Track 8. R.A.V.E.N (종장 전투)
  • Disc 5 - Track 9. The Armageddon (메시아 전투, ZAM 작곡/세션)
  • Disc 5 - Track 11. What"s going on here (종장 필드)
  • Disc 5 - Track 12. Emperor Karl Petrarca (이벤트용 BGM)
  • Disc 5 - Track 13. Bygones (이벤트용 BGM)
  • Disc 5 - Track 15. The Constellarium (제국수도 콘스텔라리움 Constellarium; Altar castle)
  • Disc 5 - Track 16. N.O.A.H - Name of apocalyptic hour (고대인의 방주 ARC-TURUS)
  • Disc 5 - Track 17. Paradise lost (에덴)
  • Disc 5 - Track 20. RX-7 (겟세마네, 아후라-마즈다 이벤트 Gethsemane, Ahura-Mazda)
  • Disc 5 - Track 21. Lovely woods (이벤트용 BGM, ZAM 작곡/세션. 가사는 아래에 첨부)
  • Disc 5 - Track 22. Devastated soul (발켄스발드 고성 입구 Walkenswaard; ancient castle)
  • Disc 5 - Track 23. Ignite me (발켄스발드 고성)
  • Disc 5 - Track 24. Cursed cathedral (발켄스발드 예배당)
  • Disc 5 - Track 25. 황제의 무덤 (느부갓네살 Nebuchadnezzar; The tomb of Emperor)
  • Disc 5 - Track 26. Show me the money (부호 그랑데 저택)
  • Disc 5 - Track 27. Melody (엔딩 BGM)
  • Disc 5 - Track 28. Truth in me (Staff roll, ZAM 작곡/세션)

(Disc 5 중복 트랙 정보)

  • Disc 5 - Track 2~7 은 Disc 1 - Track 2~7 과 같습니다.
  • Disc 5 - Track 10 은 Disc 1 - Track 21 과 같습니다.
  • Disc 5 - Track 14 는 Disc 2 - Track 29 와 같습니다.
  • Disc 5 - Track 18 은 Disc 4 - Track 23 과 같습니다.
  • Disc 5 - Track 19 는 Disc 3 - Track 31 과 같습니다.
  • Disc 5 - Track 29 는 Disc 1 - Track 9 와 같습니다.

보컬 및 가사 정보

■ Lovely woods (Disc 5 - Track 21)

* Music/Guitar session: 양성규
* Lyric: 양성규
* Vocal: 비공개

green meadows lovely woods
you will lose your beauty
pretty flowers rapid brooks
your charm and beauty will soon wither

■ Opening : Open your eyes (사운드 트랙에 없음)

* Game Music Best with TeMP(악튜러스 한정판 특전 CD) 의 19번 트랙에 수록됨.
* Vocal: 정여진

들어봐요 눈을 감고
듣지 못한 듣지 않던 소리
아무 생각하지 말아요.
지금껏 보았던 사실 모두 잊어버리게 (이젠)

닫힌 눈을 뜨고 세상을 다시 한번 보아요
감춰진 진실들이 눈 앞에 (보이나요)
알고 있던 현실과 다른 진실한 세상이
그동안 몰랐었던 그 세상이...

(Nar.)

생각해요 눈을 감고
잊혀졌던 자신 속의 모습
애써 외면하지 말아요
지금껏 몰랐던 사실 모두 느낄 수 있게

이젠 닫힌 눈을 뜨고 세상의 모든 것을 보아요
아픔에 얼룩져진 모습을 (그렇지만)
모든 것 떠나도 진실은 언제나 남아있죠
우리의 아름답던 추억속에

닫힌 눈을 뜨고 세상을 다시 한번 보아요
감춰진 진실들이 눈 앞에 (보이나요)
알고 있던 현실과 다른 진실한 세상이
이제는 알 수 있죠
이제는 느껴져요
그 동안 몰랐었던 그 사랑이...

■ Ending : Truth in me (Disc 5 - Track 28)

* Vocal: 정여진

지내온 시간들 이젠 가슴아팠어
헤어지잔 너의 그 한마디 아직은 믿기질 않아
이별이 무언지 나는 알지 못했어
언제라도 너와의 사랑은 끝나지 않을거라 했어
난 네게 말했지 우리의 사랑 믿지않은 것을
이젠 알것만 같아
너의 맘이 떠났다는 걸 알 수 있는 거야
더이상 잡지 않겠어 너의 떠난 마음을 나도 후회는 없어
이제 난 너의 모습 잊을 수 없어 또 다른 나를 위해서

더이상 잡지 않겠어 너의 떠난 마음을 나도 후회는 없어
이제 난 너의 모습 잊을 수 없어 또 다른 나를 위해서
나 이젠 새로운 날 위해 모든 것을 잊었잖아
너를 위해서 기다린 시간들은 이젠 생각하지 않겠어
그래 난 너를 잃고 살아가는 걸 또 다른 나를 위해서
지난 날들을 사랑해

2. 그라비티가 정식으로 밝힌 악튜러스 엔딩의 뜻

원 출처는 역시 그라비티 게시판. 그라비티의 marinade 님의 글입니다. 이야기 및 엔딩에 관한 많은 미리니름이 있으므로 플레이를 하실 분이나 플레이 중으로 아직 엔딩을 안 보신 분께서는 열람을 자제하시기를 권합니다.

Q. 엔딩에서 시즈가 여자가 된 까닭은?

Arcturus에서는 관념적이고 상징적인 표현방식을 많이 사용했습니다. 시즈에게 "여자처럼 생긴 남자"라는 설정을 부여한 까닭은 신과 인간의 사이에 있는 존재라는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서였습니다. 대개 천사는 성별이 없는 무성인 존재로 묘사되곤 하는데, 시즈라는 캐릭터도 그러한 표현방식을 따르려고 했던 것이었으며 게임 진행중 정신과 육체로 분리된 시즈가 엔딩에서 아후라 마즈다와의 계약이 종료되어 다시 평범한 인간으로 돌아간다는 것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시즈를 인간으로서의 평범한 모습으로 돌려놓기로 하였습니다. 여기에서 남자모습의 시즈와, 여자모습의 시즈 둘중 어느것으로 되돌려야 하나 하고 고민했었는데 아후라 마즈다가 뱀과 여성을 합쳐놓은 형태로 표현되고 있었으므로.. 그리고 그 이전까지의 시즈의 모습이 남성에 가까운 모습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남성화된 시즈의 모습을 남겨놓고 마무리를 한다면 인간으로 환생했다는 내용을 전하기 어려울 거라 생각해 최종적으로 여성화 되는 것으로 마무리했습니다. 그러나 이런 내용이 사용자들에게 잘 전달되지 않은 것 같습니다.

Q. 여성화된 시즈와 아이는 여자끼리인데 커플이 될 수 있는가?

Arcturus에서는 남성과 여성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형태의 일반적이고 통념적인 사랑 이외의 관계들에 대해 다루려고 했었습니다. 예로 인간과 인형의 사랑이라던지, 조물주와 피조물의 사랑 등이 등장하며, 그 외에도 초기설정상으로는 쉐라 플레어(시즈의 어머니로 나오는)를 남자로 표현하려 했었으나 우리나라의 정서상 맞지 않을 것 같아 수정했습니다. 이후 인간이 된 시즈와 아이가 꼭 짝을 이루어 결혼하지 않더라도 충분히 서로 의지하며 살아갈 수 있으리라 생각했습니다.

Q. 엔딩에서 셀린이 다시 방주에 스스로를 봉인하는 이유는?

엔딩의 대사중에도 나오듯, 셀린은 죽지않는 몸을 가졌으므로 시즈와 함께 한다고 해도 언젠가는 시즈가 죽어가는 모습을 지켜봐야 합니다. 이후 세상의 끝까지 홀로 살아남아 모든 것을 지켜봐야만 하는 고통이라던가, 고대에 자신이 사랑했던 엘리자베스까지 자신의 손으로 죽였던 자책감까지 더해져 더이상 살아갈 자신을 잃었지만 스스로 목숨을 끊을 용기까지는 없었기 때문에 다시 방주로 돌아가 스스로를 봉인하게 된다는 내용을 전하고 싶었습니다. 그렇지만 표현력의 한계로 잘 전달이 되지 않았던 것 같아 아쉬움이 남습니다. 그 외에도 악튜러스의 뒷 이야기를 만든다면 셀린을 중심으로 해보고 싶었기 때문에 예비해 두었다고도 볼 수 있겠습니다.

Q. Arcturus의 후속작을 만들 계획이 있는가?

손노리와 그라비티는 Arcturus를 제작하면서 서로 많은 것을 배웠다고 할 수 있습니다. 손노리는 그라비티적인 감각을, 그라비티는 손노리적인 구성을 배웠습니다. 양사는 이제 혼자서도 Arcturus만한 작품을 만들 수 있는 기반을 굳혔고, Arcturus는 그 중간과정물이었으며 양사가 각각 발돋움하기 위한 기반이 될 것이라고 봅니다. 지금 단계에서 양사가 다시한번 프로젝트팀을 결성하여 또다시 공동제작에 들어간다면 상업적으로는 어느정도의 호응이 있을 것이라고는 기대하지만, 딱히 Arcturus보다 크게 높은 수준의 작품이 나올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이후 양사가 각각 또다른 영역을 개척했을 때, 서로의 장점을 모으기 위해 다시 공동제작을 시도할 수는 있을 것입니다. 그 작품이 Arcturus의 속편이 될지, 아니면 완전히 다른 작품이 될지는 지금 알 수 없고, 역시 또다시 실험적인 성격의 작품이 되리라고 생각합니다.

Q. 3장의 정신세계에 등장하는 "관념의 꽃"은 무슨 의미인가?

그것은 초기 기획에서는 아이템화 하려고 했었으나 그 효능을 대체할 다른 아이템이 나왔기 때문에 아이템에서는 삭제한 부분입니다. 그 꽃은 셀린의 마음속에 무의식중에 품고 있는 과거의 미련에 대해 표현하려 했던 것이고, 아이가 셀린의 정신세계에 들어가 그 꽃을 꺾어버린 것은 미래(엔딩)의 일을 암시한 것입니다. 역시 잘 전달되지 않았던 부분이라 제작진에서도 아쉽게 생각하는 부분입니다.

Q. 시나리오중에 등장하는 "이현기"와 "이재숙"은 누구인가? 실존인물인가?

"이현기"는 과거에 디어사이드 3(DEICIDE 3)라는 어드벤쳐 게임을 제작했던 스튜디오 쟈코뱅 대표의 이름입니다. 이현기라는 이름은 그라비티의 예전 작품인 "개미맨2"에도 등장하는데, 개미맨의 기획당시 "디어사이드에 나오는 김창기라는 캐릭터 이름을 쓰고 싶다"고 했더니 "그건 좀 곤란하다"는 반응을 보여와 그라비티측에서 "그렇다면 차라리 이현기씨 이름을 실명으로 사용하겠다"고 일방적으로 통보한 뒤, 다짜고짜 게임에 삽입했었습니다. 이후, Arcturus의 기획당시 "고대"의 이미지를 현세와 같은 느낌으로 표현하기 위해 한국인의 실명을 사용하기로 했었는데 적당한 이름을 찾던 중 개미맨2에서 우스운 역할로 나와버린 이현기라는 이름에 좀 더 비중있는 역할을 쥐어주기로 했습니다. "이재숙"은 이현기씨 대학 후배의 실명이며, 이현기씨는 현재 "Archmage" "Stabatmater(http://www.stabatmater.co.kr/)"등의 작품을 제작중입니다. 이현기씨는 그라비티 스탭의 CD를 빌려간 뒤 종적을 감추기도 했습니다.

Q. 엔딩에서 플레어씨가 죽은 까닭은?

Arcturus에는 같은 소재에 대한 반복적인 표현이 여러군데에서 등장합니다. 예를 들어 센크라드와 엠펜저 <<-->> 앙그라 마이뉴, 스펜타 마이뉴 <<-->> 이재숙, 이현기라던지.. 그중에서도 가장 많이 등장하는 소재는 "아버지"라는 내용이었는데, 시즈와 시즈의 아버지, 엠펜저와 센크라드의 "아버지", 피치와 캐럿의 아버지, 기타 여러 조연들의 아버지, 가상인간들의 "아버지"였던 이현기와 이재숙, 마지막으로 인간들의 "아버지"까지.. 그 역할에 대해서는 유저들이 느끼는대로 느끼게 하고 싶었고, 그 관계에 대해 로마서 9장 21절에서 인용하여 3장의 오프닝에 사용했던 "옹기장이가 진흙 한 덩이로 하나는 귀히 쓸 그릇을, 하나는 천히 쓸 그릇을 만들 권한이 없겠느냐" 라는 글로 유저들에게 생각하게 하고 싶었습니다.

엔딩에 데릭과 쉐라의 무덤이 나란히 있는 것은 아후라 마즈다와 아흐리만이 동시에 소멸되었다는 것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려고 했는데.. 내용상 민감한 부분이라 자세히 표현할 수 없었던 한계도 있었고, 표현능력의 한계도 있었던 것 같군요.

☞ 태그: 악튜러스, BGM, 뒷이야기,

☞ 트랙백 접수 모듈이 설치되지 않았습니다.

☞ 덧글이 2 개 있고, 트랙백이 없습니다.

덧글을 남기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 boss0430 님께서 2017-07-28 10:51:23 에 작성해주셨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랜시간 간직해오던 악튜러스 초회판을 얼마전 판매하였고, 입양보내기 전 OST 들만 리핑했었더랬습니다.
나이드니 금방 40넘는데 10년 넘는동안 한번도 플레이 못해보느니, 좋아했던 OST만 남기고 다른 분께 드리고자 했었지요.. 아 이게 아니고요 -ㅁ-;;;
오늘 보니 태그 정보가 전혀 없어 난감해하다가, 5CD 와 보너스 CD까지 모든 정보를 정리해주신 내용을 보고 크게 도움되었습니다. 이제 오디오 파일들에 태그 넣을 수 있겠네요 ㅠㅠ)b
정말 감사드립니다!!!!

□ boss0430 님께서 2017-07-28 10:53:06 에 작성해주셨습니다.

헉 댓글 남기고 사이트 주소를 보니 제가 엄청 감사하며 썼던 SMI 싱크 조절기 제작자님이시네요!!!
정말정말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489] < [326] [325] [318] [317] [316] ... [311] ... [308] [307] [306] [303] [301] > [19]

(C) 2000-2023, Owl-Networks. Powered by Perl. 이 페이지는 HTML 5 표준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