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Icon

Owl-Networks Archive

LoginIcon

윈도우 7 / 윈도우 탐색기의 특정 폴더를 클릭하여 콘솔 모드 열기

| 분류: 컴퓨터 사용 경험 | 최초 작성: 2012-02-11 00:36:39 |

사용 빈도가 그렇게 많지는 않지만, 어느 수준 이상이 되면 은근히 많이 쓰게 되는 것이 바로 콘솔 모드(흔히 도스창이라고 불리는 까만 화면)이다. 보조 프로그램 안에 들어 있는 "명령 프롬프트"를 클릭하거나, 실행 폼에 cmd.exe 를 입력하여 실행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콘솔 모드를 사용하면서 참 불편한 점이, 항상 콘솔 모드를 실행할 때마다 정해진 폴더(관리자 권한을 준 경우 C:\WINDOWS\SYSTEM32 폴더, 사용자 권한인 경우에는 개인 폴더)에서만 실행된다는 점이다. 대개의 경우 콘솔 모드를 켠 목적이 해당 폴더가 아닌 경우가 많기 때문에, CD 명령을 사용하여 원하는 폴더로 일일이 찾아들어가야 한다. 폴더 명이 길거나, 목표하는 폴더가 몇 단계쯤 아래로 내려가 있으면 은근히 짜증이 밀려오곤 한다.

이런 경우, 윈도우 탐색기의 우클릭 메뉴에 "콘솔 모드 열기" 메뉴가 뜨도록 하면 그 폴더에서 콘솔 모드를 열 수 있어서 편리하다. 그 방법 자체는 매우 오래 전에 알려져 있다. Windows Power Toys 를 이용하거나, 해당 레지스트리만을 가져다가 입력하면 된다. 이에 대한 원 글은 다음의 링크로 들어가면 볼 수 있다.

* 원 글: 명령행 여기로... http://qaos.com/article.php?sid=1263

위 글대로 레지스트리에 해당 항목을 등록하면, 탐색기에서 폴더나 드라이브를 마우스로 우클릭하면 [명령행 열기] 라는 메뉴가 보이게 되며, 그 메뉴를 클릭하면 그 폴더에서 콘솔 모드(도스창)가 열리게 된다.

레지스트리 파일은 여기에서도 다운로드 가능하다. 다운로드 (크기: 505Byte)


사실 여기까지의 내용이라면 이미 2002년에 쓰여진 위 글의 재탕에 불과하다. 필자 역시 저 레지스트리를 윈도우 XP를 쓰던 시절에는 정말 편리하게 써 왔었다. 그런데, 윈도우 7로 업그레이드 후에, 위의 레지스트리 파일을 아무리 클릭해 넣어도 탐색기의 마우스 우클릭 메뉴에 [명령행 열기] 메뉴가 뜨지 않는 증상이 나타났다. 한동안 원인을 알 수가 없어서 이 스크립트를 사용하지 못하고 있었는데, 최근 그 원인을 찾았다. 윈도우 7에서는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처리를 해 주어야 한다.

1. 일단 위 레지스트리 파일(cmd.reg)을 더블클릭하여 등록한다.

2. 레지스트리 에디터를 실행하여 다음의 레지스트리를 찾아간다. 위 레지스트리 파일이 등록한 레지스트리 항목이다.

HKEY_CLASSES_ROOT\Directory\shell\cmd


3. 위 레지스트리 항목에 찾아가 보면 아마도 아래와 같은 상태가 되어 있을 것이다.

HKEY_CLASSES_ROOTDirectoryshellcmd 레지스트리 항목의 상태.
HKEY_CLASSES_ROOTDirectoryshellcmd 레지스트리 항목의 상태.


여기에 존재하는 Extended 와 NoWorkingDirectory 의 두 개의 키를 깔끔하게 삭제해 준다. (윈도우 XP 시절에는 저 키들이 없었는데, 윈도우 7에서 저 키들이 멋대로 생기면서 문제를 일으킨 것이었다.)

4. 이제 Drive 항목으로 가서 이 부분에 존재하는 저 두 개의 키도 삭제해 주어야 한다. 위치는 다음과 같다.

HKEY_CLASSES_ROOT\Drive\shell\cmd


5. 여기까지 수정 후 레지스트리 에디터를 종료한다. 이제 윈도우 탐색기에서 드라이브나 폴더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해 보면 [명령행 열기] 메뉴가 정상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태그: 윈도우 탐색기 확장, 콘솔 모드, 윈도우 7,

☞ 트랙백 접수 모듈이 설치되지 않았습니다.

☞ 덧글이 없고, 트랙백이 없습니다.

덧글을 남기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489] < [419] [418] [416] [415] [413] ... [412] ... [410] [408] [407] [406] [405] > [19]

(C) 2000-2023, Owl-Networks. Powered by Perl. 이 페이지는 HTML 5 표준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