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Icon

Owl-Networks Archive

LoginIcon

2012년 제2회 정기 기사(정보처리기사) 필기시험 후기 + 공부방법론

| 분류: 이런저런 이야기 | 최초 작성: 2012-05-23 09:05:51 |

뭔가 뜬금없이 본 시험이긴 하지만, 일단은 다목적 포석으로 본 시험이다. 다만 날짜가 좋지를 않아서 이틀 후에 있을 면접 준비에 심각한 지장을 초래했다는 것이 문제라면 문제랄까.

수요일 저녁부터 준비를 했으니, 대략 3일 반나절 정도 준비를 한 셈인데, 일단 점수는 넘칠 정도로 받았다. 1과목 95 2과목 80 3과목 85 4과목 85 5과목 80. 어려울 수밖에 없는 2과목과 어느 정도 배경 지식은 있지만 문제풀이에서는 좀 고전했던 5과목이 점수가 똑같이 나왔다는 것이 조금 웃기는 일이지만, 점수 자체로도 둘 다 나쁜 점수가 아니니 오케이.

나보고 시험 보라고 했던 녀석은 왜 이리 점수가 비경제적이냐고 하지만, 커트 근처에 걸려서 합격여부를 노심초사하는 것보단 낫지 않나.

이제 실기 준비를 해야 하는데, 이건 또 언제부터 어떻게 해야 하는건가...














p.s. 필기 공부 방법론

문제은행 방식이라는 것은 일전부터 알고 있었고, 엄격한 문제은행이 아니라서 운전면허시험처럼 기출문제가 자주 반복된다는 것도 들어서 알고 있었지만, 이 정도일 줄은 몰랐다. 100문제 150분 시험을 65분에 다 풀고 10분동안 놀다가 나오게 될 줄이야. 그래서, 안 그래도 바쁜데 쓸데없는 짓을 해 버렸다.

<금회 문제지는 B형 기준, 기출은 아마도 모두 A형 기준>

제1과목 데이터베이스

1. 08년 05월 16번
2. 09년 03월 14번
3. 09년 05월 19번 (일부 보기가 바뀌었지만 정답이 동일함)
4. 08년 09월 16번
5. 08년 05월 18번
6. 10년 03월  4번
7. 11년 06월  9번 (선택지 두 개의 문장의 끝 부분이 서로 바뀌면서 정답만 변경됨.)
8. 07년 05월  9번 (같은 것 모두 고르기 문제가 다른 것 하나 고르기 문제로 바뀜.)
9. 08년 09월  7번 (Preorder 전체 순서를 물었던 문제가 4번째만 찾는 문제로 바뀜.)
10. 07년 03월 16번
11. 09년 05월 18번
12. 겁색 안 됨. (개념 스키마가 이렇게 자세히 출제된 건 5년래 처음)
13. 검색 안 됨. (논리적 설계 단계가 자세히 출제된 것도 5년래 처음)
14. 11년 06월  1번 (풀어썼음)
15. 07년 03월  1번
16. 10년 05월 14번
17. 11년 06월 16번
18. 10년 09월  5번
19. 08년 09월 19번
20. 08년 09월  4번

제2과목 전자계산기구조

21. 09년 08월 38번 (유사문제)
22. 검색 안 됨. (최근 5년간 첫 출제.)
23. 검색 안 됨. (최근 5년간 첫 출제.)
24. 10년 03월 30번
25. 07년 05월 29번 (유사문제)
26. 12년 03월 31번 (유사문제)
27. 검색 안 됨. (최근 5년간 첫 출제.)
28. 검색 안 됨. (유사문제 1개 있으나, 보기 두 개가 지난 5년간 없었던 보기.)
29. 08년 03월 30번, 09년 08월 37번 등 (개별적으로 묻던 여러 문제를 종합적으로 한 번에 물음)
30. 08년 05월 33번
31. 10년 03월 31번
32. 08년 03월 22번
33. 07년 03월 24번
34. 검색 안 됨.
35. 검색 안 됨.
36. 검색 안 됨. (EX-OR 연산 자체가 최근에 맛보기로 단 한 번 출제됨.)
37. 검색 안 됨. (계산문제)
38. 검색 안 됨. (간접주소에 의한 값 계산 문제를 풀어쓴 것.)
39. 08년 09월 29번 (계산문제인데 동일함)
40. 07년 03월 38번

제3과목 운영체제

41. 동일문제는 없으나 수도없이 물어봄.
42. 검색 안 됨. (finger문 5년래 첫 출제. ls, cat, chmod 출제에 싫증났나봄.)
43. 08년 05월 60번 (라운드 로빈 계산문제. 숫자 하나만 바뀌어서 정답이 변경됨.)
44. 검색 안 됨.
45. 09년 03월 58번
46. 검색 안 됨. (페이징 기법만 자세히 물어본 것이 이례적)
47. 검색 안 됨. (transparency 문제가 이렇게 구체적으로 나온 적은 5년래 처음.)
48. 08년 03월 43번 (동일문제는 아니고 보기가 조금 바뀜)
49. 동일문제는 검색 안 되지만 유사문제 수도 없이 많음.
50. 07년 03월 48번 (유사문제이지만 모르면 고르지 못할 수도)
51. 07년 09월 51번
52. 10년 09월 54번
53. 07년 03월 42번 (SSTF 계산문제. 숫자만 바뀜.)
54. 08년 03월 48번
55. 07년 09월 45번
56. 12년 03월 44번
57. 07년 05월 59번
58. 검색 안 됨. (부인방지를 물어본 것은 5년 안에 없었음.)
59. 유사문제 매우 많음. (정답까지 일치)
60. 07년 03월 60번

제4과목 소프트웨어공학

61. 08년 09월 76번
62. 08년 05월 66번
63. 08년 05월 71번
64. 10년 09월 74번 (보기가 몇 개 변경됨.)
65. 09년 05월 70번
66. 08년 05월 61번
67. 10년 09월 79번
68. 11년 06월 73번 (보기 변경된 유사문제. 그 외에도 많음.)
69. 10년 05월 67번 (동일, 유사문제 매우 많음)
70. 11년 08월 72번
71. 09년 03월 63번
72. 07년 09월 64번
73. 08년 03월 79번
74. 07년 03월 65번 (유사문제. 핵심 오답이 동일한 문제. 그 외에도 많음)
75. 11년 08월 64번 (유사문제. 선택지 하나(정답)만 바뀌는 식으로 거의 매 회 출제)
76. 검색 안 됨.
77. 09년 08월 68번
78. 그동안 출제된 자료사전 기호 총 집합.
79. 10년 03월 72번
80. 09년 03월 69번

제5과목 데이터통신

81. 검색 안 됨. (맨날 NAK만 묻더니 웬일로 ACK..)
82. 12년 03월 45번 (그 외에도 여러번)
83. 11년 06월 96번 (앞 문제에서 답을 가르쳐 주는 거나 마찬가지..)
84. 08년 09월 93번 (한글 문제를 영문 문제로 바꾸어 출제)
85. 검색 안 됨. (B-ISDN/ATM 문제 자체가 5년 안에 처음)
86. 08년 03월 82번
87. 08년 03월 95번 (정답 보기만 변경되어서 출제)
88. 09년 08월 87번
89. 검색 안 됨. (Go-Back-N ARQ 문제는 이 형식으로 출제된 적 있음.)
90. 12년 03월 99번 (정답 보기만 변경되어서 출제)
91. 09년 08월 95번, 10년 05월 92번 (유사문제가 통합되고 새로운 선택지가 추가됨)
92. 08년 03월 94번 (유사문제에 선택지가 변경됨.)
93. 10년 05월 82번
94. 08년 03월 96번
95. 10년 09월 100번
96. 11년 08월 84번
97. 08년 09월 90번
98. 08년 05월 81번
99. 10년 05월 88번
100. 검색 안 됨. (유사문제는 많음)

특별한 주석이 안 달린 문제는 가나다라의 순서만 변경되었거나 아예 똑같이 출제된 문제들이다. 결론은 07년-11년 5년치 기출문제(1년치 300문제x5년=1500문제)를 다 풀어서 체크하고(혹, 답만 암기하고) 시험을 봤다면 웬만해선 떨어질 수 없는 시험이라는 것이다. 내 경우는 07-10년 기출문제를 공부한 후, 11년과 12년 3월 문제를 가지고 모의시험 형식으로 시험을 쳐봤다. 총 4회가 되는데, 모든 회차에서 과락 없이 합격점수가 나왔다.

물론 1500문제를 모두 숙지하고 나온다는 게 절대 만만한 작업은 아니다. 말이 쉽지, 정말 힘들다. 차라리 시험대비서 한 권 보는 게 낫지... 게다가 이걸 답만 달달달 외운다? 그게 사람이 할 짓인가. 애초에 저 정도 문제수가 되면 그냥 외운다고 해도 기억도 잘 안 난다. 나도 똑같이 출제된 문제 중에서도 기억이 안 나서 틀린 문제가 있다. 처음 출제된 문제인 줄 알고 풀었는데 돌아와서 확인해 보니 기출문제더라 하는 황당한 문제도 몇 문제 있었다. 모든 문제를 완벽하게 문제와 답을 외울 수 있다면 그것도 전략이라면 전략이 되겠지만, 평균적인 인간으로서 그런 게 가능할 리가. 자신의 단기기억력에 자신이 있다면 한번 시도해 보라.

핵심은, 기출문제를 "기준"으로 해서 공부하라는 것이다. 기출문제가 똑같이 나와주면 좋고, 똑같지 않더라도 거의 변형출제가 많기 때문에 출제되는 내용을 공부한다는 쪽에서 접근을 하면 생각보다 단기간에도 할 만한 공부다. 게다가, 자주 나오는 내용이 꽤 많다 보니 한 2년치쯤 공부하다보면 그 이후부터는 문제나 내용이 겹쳐서 버리고 갈 수 있는 문제도 꽤 많이 나온다. (2과목은 좀 예외. 안 되면 외울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어쩔 수 없다. 전공자도 공부 안 하고 치면 위험한 시험인데, 비전공자가 그걸 어떻게 정상적인 방법으로 대응하나.) 해설이 없다고? 자료 많다. 심지어 요약서 자체도 인터넷에 굴러다니더라. 계산문제 풀이는 요약서만으로 알기가 어려워서 다른 자료를 찾아봐야 했지만(찾아봐도 모르겠던 문제는 과감하게 포기), 내용을 직접 묻는 문제에 대한 해설과 학습은 요약서로도 충분했다.

많은 수험생들이 고전하는 2과목과 5과목이 변수가 되겠지만, 나도 비전공자(게다가 인문계다)인데다 기출된 내용만 확실히 잡자는 느낌으로 공략하니 면과락은 가능했다. 아니 오히려 너무 성적이 잘 나와서, "이게 뭐지?" 라고 생각될 정도다. 그냥 때를 잘 만난 탓이겠지 라고 생각하는 중이다.

물론, 필기에 붙는다고 자격증이 나오는 게 아니고, 실기시험에 합격해야만 자격증이 나오기 때문에, 아마도 필기시험은 최소한으로 추려내기 위한 절차가 아닌가 싶다. 그리고 이 정도 난이도로 출제해도 실기시험을 보는 데 무리가 없을 정도로 인원수가 추려지기 때문에 계속 이런 난이도를 고집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필기시험에 합격하면 향후 2년간 필기시험이 면제되기 때문에, 일단 필기시험에 합격한 후 본격적으로 실기를 준비하면 되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덧붙임. 2012/06/08. 가채점과 동일한 점수로 필기 합격.

gisa_result.png


참고. 기출문제를 제공하는 사이트는 몇 군데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필자가 이용하는 곳은 다음 페이지이다 :

* http://gunsys.com/gunsystem_pilgi.htm 페이지 접속 후, [정보처리기사] 선택.

회원가입도 필요 없이 이용할 수 있다.

☞ 태그: 정기기사, 정보처리기사, 정보처리,

☞ 트랙백 접수 모듈이 설치되지 않았습니다.

☞ 덧글이 2 개 있고, 트랙백이 없습니다.

덧글을 남기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 iy.kim 님께서 2012-05-23 13:15:47 에 작성해주셨습니다.

니가 보험용으로 쳐 본다고 자료 뽑아달라했지 내가 시험 한번 보라며 프린트해줬냐 이 자식아....? ㅋㅋㅋㅋㅋㅋ

⇒ 부엉이 님께서 2012-06-08 10:24:16 에 답글을 작성하셨습니다.

애초에 정보를 제공해 준 건 당신이므로 이의는 받아들이지 않습니다. :-)

□ 안녕하세요 님께서 2012-06-15 02:31:32 에 작성해주셨습니다.

2012년 정보처리기사 2회 기출문제점 보내주시면 안될까요?..ㅠㅠ  사진으로 찍어서 보내주셔도 되요 ㅠㅠ
dlglfhsz@naver.com 이나 dlglfhsz@구글   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곘습다 ㅠㅠㅠ

⇒ 부엉이 님께서 2012-06-16 15:07:50 에 답글을 작성하셨습니다.

안녕하세요. 예비군 훈련 다녀오느라 답이 좀 늦었네요.

바로 다음 회 시험을 준비하시는 것이라면 직전 회차 시험문제는 그다지 도움은 되지 않으리라 생각됩니다만(위에 기출문제 반복출제 목록을 보시면 이유를 아실 겁니다), 그래도 불안하시다면 사진으로 찍어둔 게 있으니 보내드리겠습니다. 다만 오늘은 제 사정상 힘들고요. 일요일 저녁때 쯤 가능할 것 같습니다.

[489] < [439] [438] [436] [435] [434] ... [432] ... [429] [426] [424] [423] [422] > [19]

(C) 2000-2023, Owl-Networks. Powered by Perl. 이 페이지는 HTML 5 표준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