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Icon

Owl-Networks Archive

LoginIcon

2012년 제2회 정기 기사(정보처리기사) 실기시험 후기

| 분류: 이런저런 이야기 | 최초 작성: 2012-07-08 14:31:29 |


제대로 공부는 딱 이틀밖에 못 해서, 무지하게 걱정하면서 시험장에 갔는데,
웬걸, 시험 난이도가 딱 내 수준에 맞춰서 나온 듯했다.

무엇보다, 100점 중 60점을 차지하는 알고리즘과 데이터베이스가,
"기본만 알면 다 맞아라" 모드로 출제되어버린 덕을 많이 봤다.
알고리즘은 숫자 17개를 내림차순 정렬(선택 정렬)해서 5*5 네모칸 안에 모래시계 모양으로 집어넣는 문제,
데이터베이스는 요구조건에 맞추어서 SQL문을 완성하는 문제가 출제되었다.
(아니, 5문제 중 2문제는 View와 Index 가 뭔지 알면 그냥 채울 수 있었으니..)

알고리즘은 순서도 분석을 할 수 있다면 여유 있게 풀 수 있는 문제였고,
데이터베이스는 기본적인 SQL 문을 읽을 수 있으면 답을 고를 수 있었다.
아니, 원래 난이도가 저랬나? 아닌 것 같은데...

신기술 쪽도 묘하게 내가 평소에 관심 있게 봤던 게 출제되어서
(디지털 포렌식, Cyber Bulling, Hadoop 같은 것들..)
전혀 따로 공부한 게 없는데도 다 맞은 듯 하고,

전산영어도 필기시험 때 열심히 본 것들이 출제된 덕에
아무 생각 없이 답을 쓸 수 있었다.
그냥 스케줄링 기법(FCFS, RR 등)들 총출동.
같은 카테고리 내에서 5문제가 다 출제되어서 더 풀기 쉬웠던 느낌이다.

업무프로세스야 뭐.. 반타작도 잘한 거지... -_-;;
지문에서 답을 찾을 수 있었던 두 문제만 맞췄다.
나머지 두 문제는 이게 뭐니 하다가 그냥 아무거나 적고 나왔고..

그래도 합계 90점.. 합격하고도 남는 점수다.

필기땐 그렇다 치고, 실기시험도 11시 땡 하자마자 퇴실하게 될 줄이야.
그냥 이 시험이 지금 이 시기에 나하고 딱 운때가 맞았구나 라는 생각을 하고 있다.

...이 시험보다 다른 시험이 이렇게 운 때가 맞아야 할 텐데..


첨언.

시험 끝나고 귀가한 후, 가채점을 위해서 가채점 답안이 올라오는 모 사이트에 들렀다가, (별 노력 없이) 시험 붙었다고 만세 부르는 사람들과, 떨어진 사람들 보기 안 좋다며 자중하라는 사람들이 댓글로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 걸 봤다.

일단 자중하라는 사람들의 말도 일리가 있긴 한데, 아마도 댓글 남긴 사람들이야 대부분 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강의 듣고 붙은 사람들일 것이고, 그 사이트 입장에서도 그렇게 붙은 사람들이 만세 부르는 댓글이 많이 달려야 강의 들으러 오는 사람들이 많아질 것이니 (그러라고) 가채점 게시물 밑에 댓글란을 열어놨을 것이다. "애초 목적이 그런 곳"에 가서, 떨어진 사람들도 보고 있으니 자중하라는 것도 그다지 경우에 맞는 것 같진 않다. (단지 자기가 불합격 한 게 속이 쓰려서 어깃장을 놓는 것이라면 더욱 더 그렇다.)

오히려 걱정되는 것은, 그런 댓글로 인해서 시험을 경험해 보지 않은, 또는 이제 시험을 막 준비하려는 사람들이 잘못된 인식을 갖게 되는 게 더 큰 문제라면 문제일 수도 있겠다. 얼마 전에 나도 이 블로그에 필기시험 후기와 간단한 공부방법론을 남긴 일이 있고, 실제로 그렇게 한다면 필기시험은 거의 무조건 합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이 시험이 절대적으로 공부할 분량이 적은 (쉬운) 시험은 아니다. 오히려 제대로 공부하기로 하면 한도 끝도 없다고 생각한다.

나도 따지고 보면 어쩌다 쉬운 회차에 시험을 쳐서 큰 노력을 들이지 않고 필기 실기 한큐에 합격한 셈이 되었지만, 시험이 정말 어렵게 나왔다면 어이없는 점수로 불합격할 수도 있었다. 게다가 나도 인문계 전공자라고는 하지만, (취미생활이기는 해도) 실제 코딩도 하고, 데이터베이스 관리도 하고 있기 때문에, 이 시험에서 다루는 내용들이 그다지 낯설지는 않은 사람이다. 어느 정도 시간만 주어지면 알고리즘 순서도 웬만큼은 분석할 수 있고, 아주 복잡한 수준의 것이 아니라면 상황에 맞는 간단한 SQL 쿼리문 정도는 레퍼런스 없이도 코딩할 수 있다. 이론적 배경은 아주 일천하지만, 직접 해본 게 있다 보니 실무적인 부분은 어느 정도는 대응할 수 있다는 거다. 그러니 필기시험 3일 반 공부에 85점, 실기시험 1일 반 공부에 90점(난이도 문제는 일단 무시하고)이 나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 시험이 다루는 내용들에 대해서 전혀 배경지식이나 선지식이 없는 사람이, 이 정도 노력을 들인다고 했을 때에는, 난이도가 아무리 쉽게 출제된다 한들 무조건 합격한다고 할 수 있는 시험이 절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게다가 실제로 코딩 한 줄 해 보지 않은,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한 번 만들어보지 않은 사람이 최소한의 노력만 투입해서 단기간에 반드시 합격하겠다고 한다면, 그 가능성은 절대로 장담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혹시라도 이 글로 인해서, 어떤 이유로든 이 시험을 준비하고자 하는 사람(특히, 비전공자)이 잘못된 인식을 하게 될 우려가 있을 것 같아서 길게 첨언을 단 것이니, 괜한 오해 없기를 바란다.

☞ 태그: 실기, 정보처리기사,

☞ 트랙백 접수 모듈이 설치되지 않았습니다.

☞ 덧글이 2 개 있고, 트랙백이 없습니다.

덧글을 남기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 곰짱이 님께서 2012-07-08 23:54:00 에 작성해주셨습니다.

안녕하세요. 저도 이번시험 보고 왔는데요. 데베와 알고리즘 보는순간... 합격이구 느꼈네요.
일주일간 알고리즘 데베만 공부하고 어제 업무라 전산영어 2010,2011년 1,2차 용어 보고 갔는데요.
대략 70몇점이네요. 신기술은 정말 다 본것중에 나왔는데 시험장가니 헷갈리더군요 ㅎ
시험 합격 축하드려요.

⇒ 부엉이 님께서 2012-07-09 00:07:02 에 답글을 작성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전 일부러(역시 공부가 부족해서 그랬는지, 무서웠어요.) 데이터베이스하고 알고리즘을 제일 뒤로 빼놓고, 나머지 문제부터 풀었습니다. 그리고 나서 데이터베이스 풀고 알고리즘 풀었는데, 내가 왜 그랬을까 싶을 정도로 문제가 평이해서 (특히 알고리즘..) 오히려 좀 당황했습니다.
곰짱이 님도 합격 축하드립니다. ^^

□ iy.kim 님께서 2012-07-09 15:16:56 에 작성해주셨습니다.

흘륭한 스승을 두었기에 단기간 필합 고득점한게지....ㅋㅋㅋ 나 뭐래?ㅋㅋㅋㅋㅋ

⇒ 부엉이 님께서 2012-07-10 09:54:32 에 답글을 작성하셨습니다.

예끼~ 아하하하하하...

[489] < [445] [443] [442] [441] [439] ... [438] ... [436] [435] [434] [432] [429] > [19]

(C) 2000-2023, Owl-Networks. Powered by Perl. 이 페이지는 HTML 5 표준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