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Icon

Owl-Networks Archive

LoginIcon

레노버 Essential G400 + 리뷰안테크 850x (128G) 장착 로그

| 분류: 레노버 노트북 에센셜 | 최초 작성: 2015-01-24 13:45:54 |

1. 서설

요즘은 다들 가격대가 비슷비슷해지면서 크게 눈에 띄지 않고 있지만, 몇 달 전까지만 해도 (비록 회사 자체 벤치이긴 했으되) 제법 훌륭한 성능과 저렴한 가격으로 주문폭주사태까지 일으켰던 리뷰안테크 SSD다. 물론 이런저런 잡음도 있긴 했지만 필자는 거기까진 알 바 아니고 또 알지도 못한다.

약 1년 전에 Transcend SSD340 64G 모델을 구입해서 최근까지 잘 쓰고 있었다. 바꾸게 된 이유는 역시 용량 때문이다. (성능이 좋은 제품은 아니지만 성능에는 딱히 불만이 없었다.) 32비트 윈도우에서는 필자의 시스템 사용 성향 상 큰 문제가 없지만, 64비트 윈도우를 설치하려면 64G 모델로는 상당히 벅찬 상황이 오기 때문이다. 이번에도 Transcend 나 Sandisk 의 비슷한 모델로 갈까 하다가, 이왕이면 국산 업체 제품 하나 사줘보자 싶어서 이 모델로 선택했다. 가격대가 비슷하기도 했고.

2. 제품 개봉

다른 리뷰에는 박스에 봉인이 없고, 내부 포장에 봉인 스티커(봉인을 뜯으면 흔적이 남는 스티커)가 붙어 있었다는 이야기를 봤었는데, 이번에 받은 제품에는 박스 자체에도 봉인이 있었고, 내부 포장의 봉인은 보통의 스티커였다. 박스 내부는 완충재로 잘 포장되어 있고, 조립을 위한 나사 4개가 제공되었다. (완충재 내부의 홈 속에 나사 4개가 들어 있는 작은 비닐팩이 들어 있다.

좌상: 박스 위아래로 봉인이 되어 있다. 우상: 박스를 뜯은 후. 완충재로 잘 포장되어 있다. 좌하: 내부 포장도 봉인 실이 되어 있다. 우하: SSD 후면 사진. 용량 등이 표시된 라벨이 붙어있다.
좌상: 박스 위아래로 봉인이 되어 있다. 우상: 박스를 뜯은 후. 완충재로 잘 포장되어 있다. 좌하: 내부 포장도 봉인 실이 되어 있다. 우하: SSD 후면 사진. 용량 등이 표시된 라벨이 붙어있다.

3. 설치

이 노트북을 사용한 지 1년 하고 몇 달 정도 된 것 같은데, 그 사이에 노트북 하판을 몇 번 뜯는지 모르겠다. 뭐 이제 그런가보다 한다.

리뷰안테크 공식 홈페이지호환되는 제품으로 G505가 명시되어 있는데, 레노버의 G400/G405/G410/G500/G505/G510 은 같은 메인터넌스 매뉴얼을 공유하는 것으로 보아 사실상 같은 라인으로 보이므로, 위 6개 모델을 사용하고 있다면 호환성 걱정은 안 해도 될 것 같다. (그래서 필자도 별 걱정 않고 구입했다.)

분해 및 하드디스크 장착에 대해서는 이전 글의 이미지와 설명을 참조하면 될 것이니 여기에 더 쓰지는 않는다. 다만, 원래 사용하던 Transcend SSD는 겉재질이 플라스틱 계열이어서 별로 느끼지 못했는데, 이번 리뷰안테크의 850x 는 겉 재질이 금속 계열이어서, 가이드에 끼워넣는 것이 좀 뻑뻑하게 느껴졌다. (가이드도 금속 재질이라서.) 아마 외관이 살짝 긁히지 않았을까 싶은데, 그렇다고 다시 빼서 확인할 수도 없으니 그냥 넘어간다.

G400의 내부 하드디스크 가이드에 850x를 장착한 모습. 가이드도 금속이고 SSD 겉면도 금속재질이라 약간 뻑뻑하게 마찰되면서 들어간다.
G400의 내부 하드디스크 가이드에 850x를 장착한 모습. 가이드도 금속이고 SSD 겉면도 금속재질이라 약간 뻑뻑하게 마찰되면서 들어간다.

조립을 끝내고 전원을 켠 결과. 바이오스상에는 정상적으로 SSD가 인식되고 있고, 익숙한 BOOTMGR is Missing 오류 메시지가 반긴다. 하드웨어 설치는 이것으로 끝. 이제 윈도우를 설치하면 된다.

좌측: 바이오스에 정상적으로 850x가 잡히고 있다. 우측: 부트 오류. 운영체제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저 메시지가 나왔다는 것은 하드웨어 테스트를 통과했다는 의미다.
좌측: 바이오스에 정상적으로 850x가 잡히고 있다. 우측: 부트 오류. 운영체제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저 메시지가 나왔다는 것은 하드웨어 테스트를 통과했다는 의미다.

참고로, 이전 글에서 밝힌 대로, 현재 필자는 ODD 위치에 원래 시스템에 장착되어 있던 HDD 를 2nd HDD Bay(멀티부스트)를 사용하여 장착해 쓰고 있다. 따라서, 멀티부스트와 함께 사용해도 문제 없다는 이야기다.

4. 윈도우 설치

시간 관계상, 윈도우 설치는 클린 설치가 아닌 필자가 사용하는 TrueImage 2014 를 이용한 백업 이미지 복구를 선택했다. TrueImage 2014 의 경우 SSD 에 복구하는 경우에도 파티선 정렬을 제대로 해 주기 때문에 (원본 이미지가 파티션 정렬이 안 된 상태이더라도 정상적으로 1024K 파티션 정렬을 해 준다.) 파티션 정렬로 인하여 성능상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고 한다. 기존 SSD의 용량이 64G 여서 복구 시 64G로 복구가 되지만, 윈도우 7의 경우 복구를 마친 후 파티션 확장을 통해 나머지 공간으로 파티션을 확장할 수 있으므로 문제가 되지 않았다.

5. 벤치마크 테스트

숫자놀이라는 생각에 별로 좋아하지는 않지만, 그래도 성능을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방법이 이것 뿐이라 어쩔 수 없다. 복구를 마친 후 Crystal Disk Mark 및 AS SSD Benchmark 를 이용하여 한 번씩 돌려봤다. 아래는 그 결과이다.

  • CPU : i5-3230M @2.60GHz
  • RAM : DDR3L-1600Mhz, 8GB (4GBx2, Dual Channel)
  • 운영체제 : Windows 7 Professional SP1 (32bit)

Crystal Disk Mark 검사 결과. 일반 4K 검사 결과, 전체적으로는 나쁘지 않다고 생각하지만, 특히 쓰기 결과가 영 찜찜하다.
Crystal Disk Mark 검사 결과. 일반 4K 검사 결과, 전체적으로는 나쁘지 않다고 생각하지만, 특히 쓰기 결과가 영 찜찜하다.

AS SSD Benchmark 검사 결과. 총점은 841점으로 나쁘지 않은 결과지만 마찬가지로 4K 결과가 영 눈에 밟힌다.
AS SSD Benchmark 검사 결과. 총점은 841점으로 나쁘지 않은 결과지만 마찬가지로 4K 결과가 영 눈에 밟힌다.

다른 부분은 크게 의문이 없지만, 일반 4K 검사 결과는 조금 의문이 남는다. 읽기 25 내외, 쓰기 50 내외가 나오는데, 이 결과는 특히 쓰기의 경우에 과거에 사용하던 Transcend SSD340보다도 낮은 성능이기 때문이다. 물론 4K QD=32 결과가 읽기/쓰기 모두 압도적으로 높긴 하지만 말이다. 클린 설치가 아니어서 저런 결과가 나왔을까? 보통 일반 4K 읽기 25, 쓰기 100 이상이면 좋은 제품이라는 평을 받는 것을 생각하면 조금 미묘한 결과이다. 제작사의 벤치마크 결과는 그냥 보도자료일 뿐이라고 생각하기에 그것과 비교해서 흠을 잡을 생각은 없지만, 예상보다 더 좋지 않은 결과여서 좀 아쉽다.

Crystal Disk Info 초기 결과값.
Crystal Disk Info 초기 결과값.

SSD의 성능을 제대로 확인하려면 일단 몇 달 더 사용을 해 봐야 하기 때문에, 현재 시점에서 이 SSD가 어떻다 라고 말하는 것은 조금 무리가 있다. 따라서 이 글은 필자와 비슷한 환경에서의 초기 성능이 이렇다 라는 정도의 참고밖에 되지 못한다. 하나 더 덧붙인다면 레노버 G400 모델에 호환성 문제 없이 장착이 되고, ODD 측에 멀티부스트 하드디스크를 장착한 상태에서도 마찬가지로 호환성 문제가 없다는 점이다. (단, SSD 를 멀티부스트 베이에 장착하는 실험은 해 보지 않았다. 애초에 내부 포트가 SATA 3이고 ODD가 장착되어 있던 멀티부스트 베이는 SATA 2인데, SATA 3 포트 놔두고 SATA 2 포트에 SSD 를 장착해서 시스템 드라이브로 쓸 일은 없지 않을까.)

☞ 태그: Lenovo, 레노버, Essential G400, 리뷰안테크, RevuAhn, 850x, 128G,

☞ 트랙백 접수 모듈이 설치되지 않았습니다.

☞ 덧글이 없고, 트랙백이 없습니다.

덧글을 남기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489] < [487] [483] [477] [476] [474] ... [473] ... [472] [471] [470] [467] [463] > [19]

(C) 2000-2023, Owl-Networks. Powered by Perl. 이 페이지는 HTML 5 표준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